이벤트 호라이즌 (1997) - Event Horizon
감독: 폴 W.S 앤더슨 / 주연: 로렌스 피쉬번, 샘 닐
서기 2047년 '루이스 앤 클락'호의 선장 밀러(로렌스 피쉬번)와 대원들은 7년 간 실종된 우주 탐사선 '이벤트 호라이즌'호를 수색하기 위해 호라이즌호를 제작한 위어 박사(샘 닐)와 함께 우주로 파견된다. 구조 신호를 통해 가까스로 해왕성 근처에서 '이벤트 호라이즌'을 찾아낸 그들. 수색작업을 펼치지만 살아남은 사람을 찾을 수 없었고, 그 와중에 내부의 핵심인 중력 구동기를 건드린 대원 '저스틴'은 구동기 내부로 빨려들어가게 되며 큰 폭발사고를 야기시킨다.
도킹 되어있던 '루이스 앤 클락'호는 치명적인 손상을 입고, 공황상태의 저스틴을 구출하지만 그를 필두로 대원들은 이상한 환영을 보게된다. 호라이즌호 내에 생명체는 확인되지만 위치를 알 수 없다는 전제로 '스타크'는 이 함선 전체가 살아있는 생명체란 가설을 밀러에게 제시하고 밀러 선장은 이 곳에서 철수 할 것을 명령한다.
'위어' 박사는 자신의 발명한 이 우주선에 강한 집착을 보이며 반대하고, 아내에 환영에 시달리며 점점 미치게 된다.
아무도 벗어날수 없게 만들려는 박사와 점점 대원을 잃고 스스로도 혼란스런 밀러 선장의 갈등.
그리고 서서히 드러나는 '이벤트 호라이즌'의 대원들이 남긴 메세지의 의미...
살아남은 대원들은 '이벤트 호라이즌' 안에서 미쳐가는 박사를 뒤로하고 무사히 집으로 귀환 할 수 있을까?
클리셰
'폴 앤더슨' 감독은 사지가 떨어져나가는 고어 액션을 굉장히 좋아한다. [모탈 컴뱃], [레지던트 이블], [데스 레이스]만 봐도 자신이 좋아하는 스타일이 확고함을 알 수 있다.
[이벤트 호라이즌]도 그 분류이며, 우주선 역시 사람이 죽고 미치기에 너무 좋은 환경이다. 숨쉴 공기란 한정 되어있고, 믿었던 동료가 배신하거나 미쳐버리는 상황, 우주란 낯선 환경에서 튀어나오는 알 수 없는 무엇이야 말로 인간에겐 빠져나갈 수 없는 밀실이 되어버린다. 하지만 역시 뻔하다. 빠져나 갈 수 없는 좀비들의 세상이나, 탈출 할 수 없는 감옥에서의 자동차 경주나 마찬가지.
이 정도되면 감독은 어떤 이야기를 만들까는 안중에 없고, 어디에 인간을 가두어야 하는지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인간은 갇히면 반드시 싸울 수 밖에 없는 동물이라고 믿는다.
감옥같은 배경을 우선 만들고 어떻게 죽는가가 우선이다. 그러면 적은 자연스럽게 튀어나오며 그에 맞게 주인공을 만들면 된다. 이렇게 되면 스토리도 처음과 끝이 단순명료해서 머리 아프게 볼 영화가 하나도 없다. 반대로 말하면 봐도 남는게 없다. 때문에 여러영화에서 모티브를 가져온 흔해빠진 B급 영화라는 평이 많다.
과거 이와 비슷한 우주를 공포의 배경으로 한 명작들은 무수히 많지 않은가? 그 유명한 [에일리언] 시리즈나 [2001년 스페이스 오디세이] 등. 심지어 배경만 다를 뿐 [샤이닝]의 스토리와도 거의 일치한다.
너무 많아서 다 열거하기 힘들 정도로 이 영화는 클리셰의 덩어리다.
하지만 '로렌스 피쉬번', '샘 닐'등 좋은 배우들의 연기를 보는 맛과 대부분 영화에서 죽을 것 같은 캐릭터가 의외로 살아남는(구조 요원 쿠퍼)등 뻔한 형식을 파괴한 의외의 영화이기도 하다.
디자인
디자인이 진보할 수록 복잡한 기계의 구조 장치를 안으로 숨긴다. 외형은 과거에 비해 매끈해지고 유선형이 도드라진 디자인도 찾아볼 수 있다. 헌데 '스팀 펑크'나 과거 '스타워즈'의 비행선 디자인을 더 좋아하는 사람들이 있다.
SF 영화의 분위기나 세계관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확실히 '기계'적인 것을 강조하기 위해 외형에 복잡한 라인이나 장치들을 드러내는 디자인이 많다.
밀러 선장의 우주선 '루이스 앤 클락'호의 디자인은 외부의 조타실 쪽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기계장치가 두드러지게 표현된다. 내부는 대원들의 회의실과 수면 물탱크실의 공간은 밝은 화이트를 쓰고 다른 구역은 거의 짙은 회색 빛이 감돈다.
의자나 소품등을 통해 사용감이 많은 장소란걸 보여주고 새것이라는 느낌보다는 경험이 있는 우주선이란 느낌을 준다.
반면에 '이벤트 호라이즌'호의 외형은 앞쪽이 뭉툭한 검과같은 모양이다. 중간의 긴 통로는 탈출을 위해 분리가 가능하게 만든 공간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쉽게 부러지게 설계된다. 내부는 영화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장소로 유기체가 섞여있는듯한 느낌을 준다.
특히 호라이즌 호의 심장부인 '중력 구동기'방은 유닛과 유닛이 촘촘하게 모여서 기괴한 생명체의 세포를 확대한 듯한 디자인으로 일종의 문양처럼 보이기도 하다. 또는 공포 영화의 고문을 위해 사람을 가두는 가시모양의 관이나 [헬레이저]의 '핀헤드'의 머리를 더 세분화시킨 것 같다. 영화의 전체를 통틀어 가장 기괴하고 위험한 장소이며, 저렇게 디자인하지 않으면 인공 블랙홀을 만들 수 없는건가 하는 의문도 든다.
데드스페이스
[이벤트 호라이즌]는 SF 호러 게임 [데드스페이스]의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주인공 '아이작 클라크'가 착용하는 수트의 헬멧은 '이벤트 호라이즌'호의 함수와 닮았다. 영화 속 선원들이 보는 환상과 고통은 '이벤트 호라이즌'호가 야기시키는 것인데, 게임에서는 '마커'라는 괴물체가 '디멘시아'라는 증상으로 사람들에게 환상을 보여준다. '마커'의 표면은 이벤트 호라이즌의 '중력 구동기'의 다른 버전이다. 차원을 이동 할 수 없지만 세계를 파멸할 힘으로 사람을 미치게 만든다는 점은 같다.
소식이 끊어진 함선을 찾으러 간다거나 구조한다는 이야기의 설정 역시 많이 닮아 있다. 단, 영화처럼 적의 존재가 함선이라면 곤란하기 때문에 크리쳐를 게임 속의 적으로 등장시켰다. 이 게임 역시 고어 SF이다.
무서운 게임이 하기 힘들고, 게임 할 시간이 없는 분들을 위해 유투브 'GCL 지씨엘'의 스토리 링크를 건다.
이미지 출처: https://www.imdb.com/title/tt0119081/mediaviewer/rm3414973952
영상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rF7h57xx_6M&feature=youtu.be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신이 온다 [Devils on the Doorstep(鬼子來了), 2000] - 귀신이 오면 어떻게 해 (0) | 2019.07.27 |
---|---|
빅 이어 [The Big Year, 2011] - 승리와 가족사이 (0) | 2019.07.26 |
밀리언 달러 호텔 [The Million Dollar Hotel, 2000] - 자아의 흔들림 (0) | 2019.07.24 |
용서받지 못한 자 [Unforgiven), 1992] - 떠난 이를 그리며 (4) | 2019.07.23 |
씨클로 [Cyclo, 1995] - 탈출할 수 없는 숨막힘 (2) | 2019.07.22 |